본문 바로가기

Go25

[묘공단] 5주차 (2) 이 글은 골든래빗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의 24장 써머리입니다. 24장은 Golang의 장점인 고루틴인과 동시성 프로그래밍이다. 책에서 설명하는 고루틴도 좋지만 이번주는 본인이 리뷰하기 때문에 본인의 방식대로 설명해 보겠다. 더보기 24 고루틴과 동시성 프로그래밍 24.1 스레드란? 24.2 고루틴 사용 24.3 고루틴의 동작 방법 24.4 동시성 프로그래밍 주의점 24.5 뮤텍스를 이용한 동시성 문제 해결 24.6 뮤텍스와 데드락 24.7 또 다른 자원 관리 기법 고루틴을 이해하기 앞서 프로세스를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프로세스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즉 개발자가 코딩한 파일을 주기억장치(memory) 영역에 올린 후 CPU를 점유를 기다리는 것을 프로세스라 한다. 이제 스레.. 2023. 10. 29.
[묘공단] 5주차 (1) 이 글은 골든래빗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의 23장 써머리입니다. 23장은 error와 관련된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다. 어떤 프로그래밍언어든 error처리는 중요하니 책에 나온 내용과 간단한 예제를 추가해 리뷰할 예정이다. 더보기 23 에러 핸들링 23.1 에러 반환 23.2 에러 타입 23.3 패닉 23.1 에러 반환 책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예제로 에러 처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첫 번째는 file 관련된 내장 라이브러리들의 함수를 호출하면서 발생하는 에러를 처리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개발자의 코드에서 목적에 맞게 에러처리하는 예제로 설명한다. 에러를 반환한다는 뜻은 크게 세 가지의 이점이 있는데 1. 프로그래머가 예상하지 못해 발생한 에러나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 시 발생한 에러를.. 2023. 10. 29.
[묘공단] 4주차 이 글은 골든래빗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의 18, 19, 20, 21, 22장 써머리입니다. 오늘은 각 항목마다 주의할 점들과 간단한 예제로 리뷰할 예정이다. 이유는 이전 예제에서도 많이 사용했던 내용들이라 굳이 추가적으로 예제를 만들면서 할 이유가 없다 생각이 된다. 꼬우면 책을 사서 읽으삼!!! 더보기 18 슬라이스 18.1 슬라이스 18.2 슬라이스 동작 원리 18.3 슬라이싱 18.4 유용한 슬라이싱 기능 활용 18.5 슬라이스 정렬 19 메서드 19.1 메서드 선언 19.2 메서드는 왜 필요한가? 19.3 포인터 메서드 vs 값 타입 메서드 20 인터페이스 20.1 인터페이스 20.2 인터페이스 왜 쓰나? 20.3 덕 타이핑 20.4 인터페이스 기능 더 알기 20.5 인터페이스 .. 2023. 10. 22.
[묘공단] 3주차 (2) 이 글은 골든래빗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의 16~7장 써머리입니다. 16 챕터는 Golang을 하면서 궁금했던 package이다. 책에서는 기본적인?? 내용만 알려주고 있어서 본인의 궁금증이 해소되진 않아 이번 기회에 궁금했던 것 중 일부를 추가로 리뷰해 볼 예정이다. 17 챕터는 시험?? 같은 거라 문제를 공유한 후 답은 본인이 짠 코드로만 공유할 예정이다. 책에 내용이 궁금하면 책을 사보길 권한다. 더보기 16 패키지 16.1 패키지 16.2 패키지 사용하기 16.3 Go 모듈 16.4 패키지명과 패키지 외부 공개 (pass) 16.5 패키지 초기화 (pass) 17 숫자 맞추기 게임 만들기 17.1 해법 17.2 사전지식 17.3 step1 랜덤한 숫자 생성하기 17.4 step2 .. 2023. 10. 16.